윈도우 10은 인터넷이 연결된 경우, 업데이트를 통해 자동으로 드라이버 업데이트를 해준다.
편한 기능이지만 호환성 문제 등으로 골치 아픈 일이 일어나기도 한다.
예를 들어,
노트북이나 컴퓨터를 구매하고 원도우 설치 및 드라이버 설치를 할 때,
제조사에서 권장하는 드라이버와 자동 업데이트가 충돌하여 오류가 발생하여,
포맷하고 재설치하는 경우가 빈번하다.
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, 윈도우 드라이버 업데이트를 막아야 한다.
#1 장치 설정 설정
1. Windows 키 + R을 눌러 실행시킨다.
2. 실행 창에
rundll32.exe newdev.dll,DeviceInternetSettingUi
를 붙여 넣는다.
3. 아니요를 선택 후, 변경 내용 저장을 누른다.
#2 Windows 업데이트에 드라이버를 포함하지 않음
1. Windows 키 + R을 눌러 실행시킨다.
2. gpedit.msc를 검색한 후, 실행한다.
3. 컴퓨터 구성 -> 관리 탬플릿 -> Windows 구성요소 -> Windows 업데이트로 들어가,
WIndows 업데이트에 드라이버를 포함하지 않음을 사용으로 바꾸고 저장하면 된다.
모든 작업이 끝났다.
만약, 다른 드리이버(프린트 등)이 안 잡힌다면 그대로 들어가서 구성하지 않음으로 바꿔주면 된다.
'IT > 컴퓨터 사용 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전력관리기술 C1E, Speedstep, Speed Shift이란? (3) | 2019.05.18 |
---|---|
옵티머스 프리징을 줄여보자! TrayPwrD3 (1) | 2018.12.05 |